일반사회통계(279호) - 이주민에 대한 한국인의 사회적 거리감

일반 사회 통계
일반 사회 통계
간편후원 신청
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
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연락처
전문보기
닫기
전문보기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닫기

일반사회통계(279호) - 이주민에 대한 한국인의 사회적 거리감

2025-03-18 08:43 136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 클립보드 복사
[넘버즈] 279호의 최근 언론 보도 통계 중에서 일반사회에 관련한 내용만 따로 추출한 내용입니다.
제목 : <이주민에 대한 한국인의 사회적 거리감>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세요.
6da92850139de63566b60890c55a7368_1742254956_3837.png
 
[이주민에 대한 한국인의 사회적 거리감]

이주민에 대한 거리감, ‘나의 직장동료가 되는 것’까지는 수용 가능!
• 2024년 12월 기준 우리나라 국내 체류 외국인 수는 265만 명으로 우리나라 총인구의 5%를 넘어섰다. 노동자, 유학생 등 다양한 형태로 우리와 공존하고 있는 이주민에 대해 우리 국민이 느끼는 사회적 거리감은 어느 정도인지 ‘이주민과 사회통합’ 보고서(한국보건사회연구원)를 통해 살펴본다.
• 난민, 북한이탈주민, 이주 노동자 등 이주민 집단을 제시하고, 어느 정도 관계까지 받아들일 수 있는지를 1점(나의 배우자가 되는 것, 매우 가깝게 느낌)에서 5점(받아들일 수 없음, 가장 멀게 느낌) 중 선택하게 하여 각각의 평균 점수를 산출했다. 그 결과, 우리 국민의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평균은 3.1점으로, 자신의 직장동료 정도까지는 수용할 수 있다(박스 참조)는 입장이었으며, ‘난민’(3.7점)을 가장 멀게 느끼고 있었다. 이어 ‘북한이탈주민’, ‘재외동포’, ‘이주 노동자’ 등의 순으로 거리감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6da92850139de63566b60890c55a7368_1742283003_6279.png


여성, 남성보다 이주민에 대해 더 거리감 느껴!
•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성별과 세대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일까?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사회적 거리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세대별로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사회적 거리감이 높아 이주민을 더 멀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6da92850139de63566b60890c55a7368_1742283009_7102.png

 

, , , , ,

이전글 일반사회통계(280호) - 영유아 사교육 현황 2025-03-25 다음글 일반사회통계(279호) - 한국의 20대 남녀 정치인식 비교 2025-03-18

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 넘버즈

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