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사회통계(277호) -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

일반 사회 통계
일반 사회 통계
간편후원 신청
후원신청을 위해 전화번호를
남겨주시면 저희가 전화 드리겠습니다.
연락처
전문보기
닫기
전문보기
목회데이터연구소는 간편후원신청 및 후원 안내를 위해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합니다.

1. 개인정보 수집 · 이용
본인은 [개인정보 보호법] 제 15조(개인정보의 수집 · 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동의합니다.

가. [수집 · 이용목적]
수집 · 이용목적 : 간편후원신청 및 관련 후원 안내

나. [수집 · 이용항목]
수집 · 이용항목 : 연락처

닫기

일반사회통계(277호) -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

2025-03-04 14:14 241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 클립보드 복사
[넘버즈] 277호의 최근 언론 보도 통계 중에서 일반사회에 관련한 내용만 따로 추출한 내용입니다.
제목 :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확인하세요.
cd0de9a3a9c6f97e2db9ba287b1a2e4b_1741065064_92.png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 2019년 이래 4년 만에 하락 전환!

• 우리 국민의 삶의 질 수준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를 담아 매년 통계청에서는 ‘국민 삶의 질’ 보고서로 발간하는데 최근 업데이트 자료가 나와 이를 살펴본다.
• 삶의 만족도는 객관적 삶의 조건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인데 2023년 기준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는 6.4점(0~10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2023년 만족도는 2019년 6.0점에서 코로나 시기를 거치며 정체, 상승을 이어가다가 4년만에 하락하였다.
cd0de9a3a9c6f97e2db9ba287b1a2e4b_1741065184_2426.png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 OECD 38개국 중 33위로 하위권!
• 이번에는 국제비교를 위해 유엔(UN, SDSN)의 세계행복보고서(2024) 조사 결과를 살펴본다. 한국인의 지난 3년 치(2021~2023년) 평균 삶의 만족도는 6.1점으로 OECD 38개국 중 33위로 하위권에 랭크됐으며, OECD 평균(6.7점)보다도 낮았다.
•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나라는 핀란드(1위)로 7.7점이었고, 미국(21위) 6.7점, 일본은 한국보다 한 계단 높은 32위에 랭크됐다.
cd0de9a3a9c6f97e2db9ba287b1a2e4b_1741065192_3316.png


연령 높을수록, 소득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 떨어져!

• 삶의 만족도는 연령과 소득수준별로 차이를 보였다. 연령별로는 20~30대(6.5점), 40대(6.6점)의 만족도보다 60대 이상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소득수준별로 보면 소득이 낮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소득 100만 원 미만은 5.7점인데 반해 500만 원 이상은 6.6점으로 두 집단 간 0.9점이나 격차가 벌어졌다.
cd0de9a3a9c6f97e2db9ba287b1a2e4b_1741065199_8887.png

 

, , , ,

이전글 일반사회통계(277호) - OECD 주요국의 사회안전망 비교 2025-03-04 다음글 일반사회통계(276호) - 메신저 프로필 사진에 대한 인식 2025-02-25

세상교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통계 기반 보고서, 넘버즈

넘버즈 뉴스레터 구독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