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VIP
통합검색

대-중소기업 월급 차이…1999년 55만원→2019년 231만원

머니투데이
  • 고석용 기자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톡 나에게 전송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 텔레그램
  • 문자
  • VIEW 19,239
  • 2021.03.14 16:19
  • 글자크기조절
자료제공=중소기업연구원
자료제공=중소기업연구원
대기업 근로자와 중소기업 근로자의 평균임금 차이가 월 231만3000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9년(55만2000원)보다 4배 이상 증가한 모습이다.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미래전략연구단장은 14일 '대-중소기업 간 노동시장 격차 변화 분석'보고서를 통해 1999년부터 2019년까지 근로자 수 5인 이상 499인 이하 중소기업과 500인 이상 대기업 임금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중소기업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337만7000원, 대기업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569만원으로 231만3000원(40.7%) 적었다.



중소기업 월급, 대기업의 71%에서 59%로 줄었다


자료제공=중소기업연구원
자료제공=중소기업연구원
격차는 지난 20년 사이 더 벌어졌다. 1999년까지만 해도 중소기업 월평균 임금은 대기업보다 55만2000원(28.3%) 적었지만 △2004년에는 89만2000원(30.4%) △2009년에는 139만7000원(35.9%) △2014년에는 240만1000원(45.4%) 적었다. 2019년만 격차가 소폭완화돼 231만3000원(40.7%) 적었다. 최근 20년간 중소기업 평균임금이 연평균 4.5%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대기업 평균임금은 연평균 5.5% 늘었기 때문이다.

대기업과의 임금격차는 종업원 수가 적은 곳일수록 크게 나타났다. 1999년 5인 이상 9인 이하 소기업은 대기업보다 75만원(38.5%) 적었다. 2014년에는 격차가 292만5000원(55.3%)으로 소기업 근로자의 임금이 대기업 근로자의 절반도 되지 않았다. 2019년에만 283만2000원(49.8%)으로 격차가 소폭 감소했다.


임금뿐 아니라 평균 근속기간에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 격차가 벌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1999년부터 2014년까지 중소기업 근속기간은 5.1년에서 5.4년으로 0.3년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같은기간 대기업은 8.3년에서 10.0년으로 1.7년 늘어 격차는 4.6년을 기록했다. 2019년 중소기업이 6.0년으로 근속기간을 크게 늘렸지만 대기업도 10.7년으로 근속기간을 늘리면서 격차는 4.7년으로 2014년과 비슷했다.



"최근 5년 겨우 줄어든 격차…성과공유·내일채움공제 확대 필요"


노 단장은 "대-중소기업 간 노동시장 격차는 최근 20년간 확대됐다"며 "다만 2014년부터 2019년에만 격차가 다소 완화됐다"고 분석했다. 내일채움공제 등 중소기업 근로자 임금·장기재직 지원 정책이 효과를 내기 시작했다는 평가다. 2014년부터 시행한 내일채움공제는 근로자가 일정금액을 납입하고 이·퇴직을 하지 않을 경우 기업이 해당금액의 2배를 함께 적립해 돌려주는 사업이다.

노 단장은 그러면서 사업자와 근로자 간 성과공유, 내일채움공제에 대한 정부의 추가 매칭적립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노 단장은 "코로나19(COVID-19) 확산으로 중소기업의 근로자에 대한 투자 여력이 크게 줄었다"며 "중소기업 근로자의 임금 상승과 장기재직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추가로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주요뉴스

트럼프에 휘둘리는 증시…불안한 개미들이 찾은 테마주는?
네이버 메인에서 머니투데이 구독 다음 언론사 홈에서 머니투데이 구독

베스트클릭

이슈패키지

오늘의 꿀팁

  • 뉴스 속 오늘
  • 더영상
  • 날씨는?
  • 헬스투데이

많이 본 뉴스

미피의 마법우체통

포토 / 영상